이제는 라이프스타일이다.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공유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삶까지 공유하는 코리빙의 문화가 국내에도 확산되고있다. ‘함께 살면 더 좋다’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걸고 운영되는 코리빙하우스 커먼타운은 최근 5층 규모 건물 전체를 쉐어하우스로 꾸민 이태원점 ‘아인슈페너’를 오픈했다. 이곳은 여성 전용 공유 하우스로 입주자 32명이 함께 살 수 있다.
코오롱하우스비전이 2017년 첫 오픈한 쉐어하우스 커먼타운는 지금까지 압구정, 삼성동, 서래마을, 청담동 등 누구나 살아보고 싶은 지역이지만 비싼 임대비용 때문에 거주하기 어려웠던 곳에 쉐어하우스를 오픈했다. 1년간 코리빙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실험한 이들은 올해 1월 리베토라는 법인으로 사업을 분리하고 본격적으로 코리빙 시장에 뛰어들었다.
![](https://i1.wp.com/www.venturesquare.net/wp-content/uploads/2018/04/2018-0423-commontown-1.jpg?resize=696%2C522)
해외에는 국내보다 한발짝 앞서 코리빙 주거 문화가 자리잡았다. 특히 살인적인 주거 비용 때문에 룸메이트 없이는 살기 힘든 뉴욕, 런던, 샌프란시스코 등 대도시나 상권발달지역에 콜렉티브(Collective), 위리브(WeLive), 커먼(Common), 올리(Olie) 같은 스타트업이 새로운 주거 방식으로서 코리빙을 제시하기 시작했다.
국내도 다르지 않다. 우주쉐어하우스, 디웰, 로컬스티치 등의 쉐어하우스가 운영되면서 코리빙개념은 알려졌지만 아직 그 수는 많지 않은 편이다. 최근 이 시장에도 자본력을 가진 소수의 대기업들이 뛰어들면서 국내 시장 역시 더욱 커질 전망이다.
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리빙 주거형태의 성장은 여러 사회적 현상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. 도심지에 살고자 하는 인구는 늘어나고 있지만 비싼 임대료가 가장 큰 문제다. 혼자서는 도심지의 주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진 것. 커먼타운 연대중 사업본부장은 “상권 발달 지역일수록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으로 인해 주거난이 극심하다”며”커먼타운은 이같은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했다”고 전했다. 비싸진 거주 비용으로 과거 세대가 거주할 수 있었던 지역에 기존 세대는 더이상 살 수 없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. 지금의 2030세대는 도심지나 부촌이라 불리는 좋은 동네에 살 기회조차 아예 갖기 어려워진 상태다. 연 사업본부장은 “쉐어하우스는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하는 N포세대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”고 주장했다.
소유하지 않고 공유하는 문화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의 삶의 방식도 코리빙 문화와 일치한다. 이들 입장에서는 비싼 임대료는 나눠 내고 공간은 공유하면서 풍요로운 삶을 즐길 수 있는 도심에서 살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매력적이다.
![](https://i2.wp.com/www.venturesquare.net/wp-content/uploads/2018/04/2018-0424-commontown.jpg?resize=696%2C522)
쉐어하우스 대부분은 입주민 모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과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을 분리해 ‘따로 또 같이’라는 개념으로 운영된다. 키친, 커피 라운지, 루프탑, 세탁룸, 수영장 등의 공간은 공용으로 이용하고 침실은 개별로 이용하는 식이다. 스웨덴 가구업체 이케아가 147국 약 7,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공유하우스 관련 설문에 따르면 침실과 화장실을 제외한 키친, 업무공간, 정원 등은 공유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또 쉐어하우스는 밀레니얼 세대의 취향을 공략한 세련된 인테리어 디자인은 물론 가구, 주방시설, 청소서비스, 기타 제반 서비스들까지 무료로 제공한다. 한 곳에 머물지 않는 디지털노매드의 삶을 즐기는 젊은 층에게는 몸만 들어가서 살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인 셈이다. 실제로 해외의 경우 다른 지역에서 일을 하기 위해 찾아온 외지인 또는 타국가에서 온 외국인이 단기적으로 쉐어하우스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.
![](https://i0.wp.com/www.venturesquare.net/wp-content/uploads/2018/04/2018-0423-commontown-3.jpg?resize=696%2C522)
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외로움을 호소하는 이들을 위한 대책으로서도 코리빙은 적합하다. 혼자의 삶은 즐기고 싶지만 또 혼자만 살고 싶지는 않다는 밀레니얼 세대의 마음을 대변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.
코리빙 전문기업이 개별적으로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. 강연, 교육, 파티 등을 주최해 입주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소셜활동을 지원해주는 것이다. 위워크가 운영하는 코리빙 서비스 위리브의 경우 멤버십을 통해 위커뮤니티가 제공하는 모든 지역, 글로벌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.
코리빙은 늦어지는 결혼 시기와 결혼은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밀레니얼 세대에게는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지만 임대 비용이 생각한 것만큼 싸지는 않다. 쉐어하우스가 도심 위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이다. 도심에 가까울수록 또 세련된 인테리어디자인으로 꾸며진 공간과 편리한 시설들을 제공하는 쉐어하우스일 수록 임대료는 비싸진다. 해외도 쉐어하우스 거주비용이 아주 저렴하진 않은 편. 뉴욕 도심 기준 약 1,500~2,000달러 정도다. 1인실은 더 비싸다.
![](https://i0.wp.com/www.venturesquare.net/wp-content/uploads/2018/04/2018-0423-commontown-2.jpg?resize=696%2C522)
국내 쉐어하우스 커먼타운의 임대료는 1인실 기준 약 80~120만원 선이다. 2인실은 80만원선, 3~4인실은 60만원선이며 보증금은 150만원이다. 비싼 금액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청담, 압구정, 삼성동 등 최고급 지역에 관리비를 포함한다면 이 금액으로는 개별 공간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 커먼타운측의 설명이다. 이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해 이보다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‘커먼타운 스탠다드’라는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.
출처 : http://www.venturesquare.net/762687